KANGWON NATIONAL UNIVERSITY
강원대학교산림환경과학대학
01
02
03
04
NEW [취업] 한국산림복지진흥원 2025년도 제2회 개방형 직위 채용 공고문 게재
2025년 제2회 개방형 직위(치유자원연구 담당) 채용 공고문을 붙임과 같이 안내드리오니, 관심있는 학생들은 붙임파일 참고 부탁드립니다. 붙임 1. 2025년도 제2회 개방형 직위 채용 공고문 1부. 2. 2025년도 제2회 개방형 직위 채용 관련 서류(양식) 1부. 3. 개방형 직위(치유자원연구 담당) 직무수행요건 명세서 1부. 끝.
11명 읽음
NEW KNU 취업 e루리(진로·취업·비즈니스 강좌 LMS 플랫폼) 수강 안내
우리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의 취업 역량을 강화를 위해 진로·취업 강좌 ‘KNU 취업 e루리(진로·취업·비즈니스 강좌 LMS 플랫폼)’를 운영하오니 소속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은 적극 활용 바랍니다. 가. 운영내용 구 분 내 용 목 적 체계적인 진로탐색 및 취업설계를 통한 취업률 제고 대 상 강원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 지역청년 운영기간 2025. 3. 1.(금) ~ 2026. 2. 28.(금) 주 소 https://job.kangwon.ac.kr/ ※ 취업관리시스템 로그인 후, ‘취업플랫폼 – 취업 e루리’ 접속 나. 비교과 마일리지 지급 안내 구 분 내 용 지급기준 그룹별(취업,진로,비즈니스)강좌 수강시간이 2시간 이상 충족 시 1점 부여 (최대 3점) 지급인정기간 2025. 3. 1.(금) ~ 2025. 12. 31.(화) 붙임 1. 취업 e루리 카드뉴스 1부. 2. 취업 e루리(LMS플랫폼) 커리큘럼 가이드 1부. 끝.
10명 읽음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전공, ‘(글로컬대학30) 2026년도 리빙랩 예비과제’ 선정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전공, ‘(글로컬대학30) 2026년도 리빙랩 예비과제’ 선정 – 산림분야 청년 일자리 연계 실증연구 추진 –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학전공이 강원대학교가 주관한 ‘2026년도 리빙랩 운영을 위한 예비과제 공모’에 선정됐다. 이번 공모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와 대학이 협력해 지역 고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형 리빙랩 플랫폼을 조성하고자 마련됐다. 산림경영학전공 연구팀은 ‘산림분야 청년의 지역 일자리 연계를 위한 리빙랩 실증 연구’를 주제로 제안서를 제출해 이번 예비과제에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지속 가능한 산림 일자리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번 연구에는 산림경영학전공 소속 교수 6인이 전원 참여하였다. ▲ 최정기 교수(산림자원측정) ▲ 김준순 교수(산림환경경제) ▲ 이정수 교수(산림공간정보시스템) ▲ 박진우 교수(산림관리) ▲ 한상균 교수(산림공학) ▲ 김주미 교수(산림정책) 강원대학교는 전체 면적의 약 81%가 산림으로 이루어진 강원도의 거점대학으로서, 국내에서 유일하게 산림분야 단과대학인 산림환경과학대학을 운영하고 있어 산림자원을 활용한 리빙랩 연구에 적합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산림경영학전공은 산림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와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으며, 이번 과제를 통해 지역 산림기업 및 공공기관 등과 협력해 산림 전공 청년의 진로 탐색 및 현장 기반 직무 연계, 지역 정착형 청년 일자리 기반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김주미 교수는 “이번 예비과제 선정은 글로컬대학30이 지향하는 지역 인재 양성과 정주기반 조성에 부합하는 모델”이라며, “강원대학교에서 배출한 우수 인재들이 지역에서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산리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학전공 한상균 교수「(사)한국산림공학회 제13대 회장」선출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학전공 한상균 교수가 「(사)한국산림공학회 제13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5년 3월부터 2027년 2월까지 2년간이다. 한상균 교수는 강원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아이다호대학교(University of Idaho)에서 석사 학위를, 오리건주립대학교(Oregon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20년 강원대학교에 부임한 이후 목재수확시스템, 임도공학 등 산림공학 관련 연구와 교육을 통해 산림경영의 필요성과 가치를 제고하는 데 앞장서 왔다. 한상균 교수는 “산림경영과 목재수확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림작업 안전 및 산불·산사태 등 산림재해 예방 연구를 더욱 강화하겠다”며 “학회 회원들과 협력하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미래지향적 산림공학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사)한국산림공학회는 1987년 창립되어 올해 22주년을 맞이한 산림공학 분야의 대표 학회로, 산림경영 및 목재수확을 위한 임도 확대와 산림작업 기계화를 선도해왔으며, 산림작업 안전 강화 및 산림재해 예방 연구를 확대하는 등 산림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장현두 대학원생(SCIE급 논문 International houmal of Molecular Sciences 논문 게재)
일반대학원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장현두 대학원생(지도교수 최선은)이 SCIE급 국제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JMS)」 2025년 4월호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JMS)」는 생화학, 화학 등 의약학 분야에서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 4.9를 기록하는 세계적인 권위의 학술지이다. 장현두 원생은 ‘Effects of Alnus japonica Pilot Scale Hot Water Extracts on a Model of Dexamethasone-induced Muscle Loss and Muscle Atrophy in C57BL/6 Mice’을 주제로, 국내 강원도산 오리나무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근육감소 유도 모델에서 나타나는 근육 위축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의 4가지 카테고리(항산화, 세포 사멸 억제, 근육 합성 촉진, 근육 분해 억제)에 대한 천연물 약리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장현두 원생의 연구는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JMS)」의 특별호 ‘Current Research in Pharmacognosy: A Focus on Biological Activities’에 수록되었다. 이번 연구는 2024년에 발표한 Pilot Scale 오리나무 열수 추출물에 관한 근육 감소 및 근육 위축 관련 in vitro 연구(Effects of Alnus japonica Hot Water Extract and Oregonin on Muscle Loss and Muscle Atrophy in C2C12 Murine Skeletal Muscle Cells)와 연계된 후속 연구로, 연구진은 in vivo 실험 단계에서 오리나무 추출물의 뛰어난 생리 활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 사용된 오리나무 추출물은 강원도 자생 수목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Pilot Scale 열수 추출 방식으로 제조되었으며, 생리활성 효능에서도 기존 연구를 뛰어넘는 결과를 확인하여 빠른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장현두 원생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지도교수인 최선은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과정에 진학할 예정이며, 후속 단계인 임상시험을 계획 중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의 ‘산림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 ▲중소벤처기업부의 ‘2023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TIPS program)’▲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COMPA)’▲ 한국연구재단의 ‘4단계 BK21사업(목질소재산업의 4차 산업 대응 전략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 목재과학전공
· 종이소재과학전공
· 산림경영학전공
· 산림자원학전공
· 산림환경보호학전공
· 생태조경디자인학과
강원대학교산림환경과학대학의관련 링크를확인하실 수 있습니다.